목록투자 (53)
삶의 공유

안녕하세요 엔비디아의 액면 분할 소식과 향후 주가에 대한 전망을 소개해드릴려고 합니다. 먼저 엔비디아는 6/11일 주식 1주를 10주로 쪼개는 1/10 액면분할을 단행 하였습니다. 이에 1주당 1200달러였던 주식이 1주당 120달러로액면 분할이 되는 것 입니다. 현재 엔비디아의 주가는 끝을 모를 정도로 오르게 오르고 있는데요, 현재 차트가 어떻게 형성되어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와 정말 엄청난 상승을 보여주고 있는 엔비디아 주가 입니다. 과연 액면 분할 이후 주가는 어떻게 될까요? 그전에 액면 분할을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액면분할기획재정부 시사경제 용어사전에 나오는 액면분할에 대한 자세한 의미 입니다.액면분할이란 납입자본금의 증감 없이 기존 주식의 액면가격을 일정 비율로 분할하여 발행주식..

4월에 24년 1분기 경제 성장률이 1.6%으로 예상 보다 1%p 가까이 낮아져 언론에서는 이를 집중 보도 했다. 아래는 구글에 미국 GDP성장률만 검색 해도 아래와 같은 기사가 많이 나온다. 그럼 미국 경제 성장률이 왜 이렇게 저조 하게 나왔는지에 대한 이유를 하나하나씩 분석 해보려고 한다. 먼저 미국의 GDP 성장률이 어떻게 구성이 되어있는지 확인해보자 GDP를 구성하는 항목은 크게 4가지로 이렇게 구성이 되어있다. 미국은 GDP 부문은 지출 부문에서 개인 소비 지출은 총 GDP의 68%를 차지하며, 그 중 상품 구매는 23%를, 서비스는 45%를 차지한다. 사적 투자는 GDP의 16%를 차지하며, 정부의 소비와 투자는 18%를 차지한다. GDP의 부문별 성장 기여도 추이를 보면 아래와 같다. ..

미국 금리 & 인플레이션 실질금리: 인플레이션을 감안하기 위해 명목 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 값으로 이자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낸다. - 실질 금리가 낮아지면 증시는 환호 (자금 조달 비용이 낮음, 즉 대출 이자가 싸다는 뜻으로 투자가 활성화됨) 단기 금리 : 정책 금리 조정시 단기 금리는 이를 즉시 반영(= 기준 금리)장기 금리 : 향후 경기의 향방 예측에 따라 상승 또는 하락 : 채권시장의 수급에도 영향을 받음 (만기별 채권 발행 규모, 안전 자산 선호도에 따른 장, 단기 채권 투자비중 변화) - 장단기 금리차 확대 : 시장 참가자들이 미래 경기가 호전되어 금리가 상승 할 것이라고 예측 - 장단기 금리차 축소 : 미래 경기를 부정적으로 전망 하고 있단는 것을 의미 ▶ 지표 해석 - 물가 하락 ..

미국 금리 & 인플레이션 실질금리: 인플레이션을 감안하기 위해 명목 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 값으로 이자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낸다. - 실질 금리가 낮아지면 증시는 환호 (자금 조달 비용이 낮음, 즉 대출 이자가 싸다는 뜻으로 투자가 활성화됨) 단기 금리 : 정책 금리 조정시 단기 금리는 이를 즉시 반영(= 기준 금리)장기 금리 : 향후 경기의 향방 예측에 따라 상승 또는 하락 : 채권시장의 수급에도 영향을 받음 (만기별 채권 발행 규모, 안전 자산 선호도에 따른 장, 단기 채권 투자비중 변화) - 장단기 금리차 확대 : 시장 참가자들이 미래 경기가 호전되어 금리가 상승 할 것이라고 예측 - 장단기 금리차 축소 : 미래 경기를 부정적으로 전망 하고 있단는 것을 의미 ▶ 지표 해석 - 물가 하락 ..

달러 스마일 이론은 미국 달러화의 가치가 글로벌 경기 상황에 따라 웃는 사람의 얼굴 모양처럼 움직인다는 이론입니다. 경기가 침체기일 때는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인해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고, 경기가 과열되거나 침체에서 회복되는 중간 단계에는 경기 회복 기대감과 리스크 회피 심리로 인해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는 것입니다. 미국 경제가 상대적인 강세를 보일 때는 성장 격차에 되레 주목하며 달러화 수요가 늘어 달러화 강세로 이어진다는 뜻입니다. 1. 달러 스마일 이론의 개요 달러 스마일 이론은 모건스탠리의 외환전략가였던 스티븐 젠이 2007년에 처음 주장한 이론입니다. 젠은 이 이론에서 달러화의 가치는 크게 3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 펀더멘털 요인: 미국 경제의 성장률, 물가, 금리 등과 ..
오늘은 경제 전망 불확실성이 생기게 된 이유에 대해 조금 다뤄보고자 한다. 해당 글은 IBK투자 증권에서 발행한 보고서를 근간으로 일부 발췌 하였다. 해당 내용을 읽다보니 이렇게 판단하는 점이 신선하게 다가와 여러분들에게 소개해드리고 싶었다. 해당 보고서는 최근 경제에 대한 전망이 많이 틀리는 이유, 불확실성이 높아진 원인에 대해서 미국, 유럽등 중앙은행의 양적 완화 정책으로 인해 발생 한다고 판단 하고 있다. 먼제, 세계 불확실성 지수에 대해 알아보자. 세계 불확실성 지수(World Uncertainty Index, WUI) - 세계적인 경제지 Economist의 계열사인 Economist Intelligence Unit의 국가 보고서에서 전체 단어 중 “불확실” 관련 단어의 백분율을 계산하고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