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세계경제 (31)
삶의 공유
오늘은 경제 전망 불확실성이 생기게 된 이유에 대해 조금 다뤄보고자 한다. 해당 글은 IBK투자 증권에서 발행한 보고서를 근간으로 일부 발췌 하였다. 해당 내용을 읽다보니 이렇게 판단하는 점이 신선하게 다가와 여러분들에게 소개해드리고 싶었다. 해당 보고서는 최근 경제에 대한 전망이 많이 틀리는 이유, 불확실성이 높아진 원인에 대해서 미국, 유럽등 중앙은행의 양적 완화 정책으로 인해 발생 한다고 판단 하고 있다. 먼제, 세계 불확실성 지수에 대해 알아보자. 세계 불확실성 지수(World Uncertainty Index, WUI) - 세계적인 경제지 Economist의 계열사인 Economist Intelligence Unit의 국가 보고서에서 전체 단어 중 “불확실” 관련 단어의 백분율을 계산하고 1,00..
24년 금리 및 채권은 어떻게 될까? 우선 2023년 12월 19일 기준 현재의 상황을 살펴보면 산타랠리를 이어가고 있다. 이유는 바로 파월 의장의 금리 인하 시그널을 시장에 주고 있기 때문이다. 즉, 비둘기파쪽 신호를 주고 있다는 뜻이다. ※ 여기서 '비둘기파'는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낮추고 시장에 돈을 푸는 양적완화를 주장하는 사람을 뜻하고, '매파'는 경기 과열을 막고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금리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 뜻한다. S&P 500 DOW KOSPI 200 선물 파월 의장의 발언이 시장이 어떻게 해석했는지 뉴스를 잠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그 코멘트에 대해 자세히 들여다 보면, 그는 "충분히 제약적인 기조를 달성했다고 자신 있게 결론짓기에는 너무 이르며, 혹은 정책이 언제 ..
미국 금리 & 인플레이션 실질금리 : 인플레이션을 감안하기 위해 명목 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 값으로 이자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낸다. - 실질 금리가 낮아지면 증시는 환호 (자금 조달 비용이 낮음, 즉 대출 이자가 싸다는 뜻으로 투자가 활성화됨) 단기 금리 : 정책 금리 조정시 단기 금리는 이를 즉시 반영(= 기준 금리) 장기 금리 : 향후 경기의 향방 예측에 따라 상승 또는 하락 : 채권시장의 수급에도 영향을 받음 (만기별 채권 발행 규모, 안전 자산 선호도에 따른 장, 단기 채권 투자비중 변화) - 장단기 금리차 확대 : 시장 참가자들이 미래 경기가 호전되어 금리가 상승 할 것이라고 예측 - 장단기 금리차 축소 : 미래 경기를 부정적으로 전망 하고 있단는 것을 의미 ▶ 지표 해석 - 미국 신용 등급..
이번엔 23년 하반기 중국 경제에 대한 주제로 포스팅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너무 뜬금 없을 수도 있지만 우리나라의 수출에서 지금은 아니지만 늘 1위에 속해 있었던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많아 이번에 한번 정리 해보려고 합니다. 23년 2Q 중국 경제 GDP 성장률이 7/17 오전 2시에 발표가 되었습니다. 예측치는 7.3%대비 실제는 6.3%로 예상치 보다 크게 하회 하였습니다. 이것은 중국의 리오프닝으로 인한 경제 활성화의 기대가 큰 것인지 아니면 중국 경제가 성장이 더뎌진 것인지 같이 한번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2분기 중국 경기 모멘텀이 둔화되었던 주요 요인은 수출, 소비, 부동산 투자입니다. 중국 경기의 최대 아킬레스건인 주택경기가 좀처럼 회복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음도 경기를 둘러싼 불안감을 ..
29주차 지표 Summary - Global - 미국 경제 침체 언제 시작? 1.국채의 시간 - 미국채 10년물 금리 다시 상승 중으로, 국채 가격 하락 매수 기회 있음 - 미국채보다는, 한국채가 더 나을 것으로 예상됨 (미국채는 사줄 사람이 없음..) 2. 금리 > Taylor Rule에 Gap에 의해 금리 인상 1,2 회 정도 남았음을 예상 가능 > 금리는 동결 되었으나 연준에서는 금리 추가 2회 가능성 시사 및 올해 금리 인하 없음 강조 3. 환율 > 원화 환율은 원화 강세 현상기조 다시 이어감. 외국인 한국 증시에 자금 유입으로 인해 원화 강세로 보임. > 위인화(경제 부진), 엔화(저금리, 긴축기조 없음) 환율은 약세 기조 지속 중. 일본 정부의 채권 시장 개입 여부 지켜볼 필요 있음. : 10..
28주차 지표 Summary - Global - 미국 경제 침체 시작? 1.국채의 시간 - 미국채 10년물 금리 다시 상승 중으로, 국채 가격 하락 매수 기회 있음 - 미국채보다는, 한국채가 더 나을 것으로 예상됨 (미국채는 사줄 사람이 없음..) 2. 금리 > Taylor Rule에 Gap에 의해 금리 인상 1,2 회 정도 남았음을 예상 가능 > 금리는 동결 되었으나 연준에서는 금리 추가 2회 가능성 시사 및 올해 금리 인하 없음 강조 3. 환율 > 원화 환율은 현재 다시 경기침체 및 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로 달러 강세중으로 보합 국면으로 볼 수 있음. > 위인화(경제 부진), 엔화(저금리, 긴축기조 없음) 환율은 약세 기조 지속 중. 일본 정부의 채권 시장 개입 여부 지켜볼 필요 있음. : 10년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