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원격의료 (2)
삶의 공유

팬데믹 이후 전 세계 사람들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아진 영향으로 디지털헬스를 활용한 보건이 확대되며 글로벌 디지털 헬스 산업 규모는 오는 2027년까지 5,080억 달러까지 성장 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지난해 기준 헬스케어 관련 애플리케이션(앱)이 약 9만개 이상 출시됐고, 이중 약 헬스케어 앱 25만개 앱이 사용 중이다. 이러한 앱은 현재 단순 건강관리와 보조수단을 넘어 질병을 모니터링하고 고도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운동&피트니스와 다이어트&영양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성장세는 둔화되는 반면, 특정질병과 의료기관&의료보험 관련 앱 활용을 더욱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중 정신질환과 당뇨 등 만성질환 관련 앱 이용률은 2015년 10%, 2017년 16%, 2020년 22%로 지속적으로 ..

비대면 의료는 환자가 의료인과 직접 대면하지 않고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모든 의료 형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관련 기술과 규제 및 제도적 이슈에 따라 [표1]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음 헬스케어 생태계 내에서 비대면 의료에 해당하는 디지털 치료제와 원격의료의 범위는 다음와 같다. 원격의료란 환자가 직접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통신망이 연 결된 의료장비를 통해 의사의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이다. 미국은 1997년도부터 원격 상담에 보험을 적용하는 등 본격적으로 산업이 시작되고 있다. Telemedicine은 ‘의사(physician)’가 ICT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에게 제공하는 원격진단과 원격치료 중심의 의료서비스를 일컫는 개념(NEJM, 2018) Telehealth는 teleme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