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경제 (132)
삶의 공유

한국 증시 코스피 2.33%▼(매수 : 개인 / 매도 : 외국인,기관) 코스닥 2.05%▼(매수 : 개인, 외국인 / 매도 : 기관) 1) 삼성 전자 이재용 부회장 구속, 외국인 시각? 2) 코스피 지수, 지난 주 고비로 변곡점 진입 3) 소로스 가설, 어느 순간에 거품 우려 높아져 - 이때 경기 받쳐 주면 '3차 랠리 진입' - 악화시 경제 여건보다 떨어지는 과잉 조정 4) 한국 경제 성장률 현황이 최대 관심사이다 세계 증시 미국 증시 (마틴 루터킹 데이를 맞아 휴장) 1) 바이든 시대, 다자주의 채널 재가동 노력 - 바이든 효과, 세계 경제 성장률 최대 0.3%p ↑ - 코로나 백신 개발, 세계 교역과 성장 촉진 (코로나 백신, 세계 경제 성장 0.5% ~ 0.7%p 제고) - 세계 교역신장 바탕, ..

한국 증시 현황 코스피 2.03%(개인 매수, 외국인/기관 매도) 코스닥 1.62% (개인 매수, 외국인/기관 매도) 1) 너무 올랐던 증시 ‘조정국면’ 바이든 대통령 취임사 주목 [주간 증시 전망]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 등 주시하면서 박스권에서 등락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코스피가 3100~3200포인트 사이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측했다. : 지난 주 코스피는 기관의 매물폭탄(8조6746억원)으로 전주 대비 64.03포인트(2.03%) 하락한 3085.90포인트로 마감됐다. 2) 경기반등 기대감에 금리 상승…"단기간에 마무리 3) 한국 은행의 증시 거품 경고, 증시 본격 조정 올 것인가? : 정책 당국, 입 맞춘 듯 주가와 실물 간 불균형 우려 : 그 이후 공매도 재개 등 ..

증시 과연 고평가 인가? -> 펀더멘털은 뒷받침되어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 경제 tv 분석] 1)미 증시 상승 여력 분석 결과 1) 러셀 2000 : 44.5% 2) 나스닥 100 27.8% 3) 나스닥 10.7% 4) 다우 8.1% 5) S&P500 6.0% 2)한국 증시 상승 여력 분석 결과 1) 코스피 14.4% 2) 코스닥 9% 3) 6-SENSE모델 '주요 항목' 기준 각 항목당 -1 ~ +1 점 부여 하여 3점 이상이면 매수, -3점 이하면 매도 해야함 미국, 한국 1) 벨류에이션 (0,1) 2) 이익 모멘텀 (1,1) 3) 유동성 (1,1) 4) 경기 선행 지표(0.5,1) 5) 주식 선호도(0,0.5) 6) 정책 환경(1,0.5) 미국 3.5 한국 5.0 -> 결국 한국 매력도..

한국 증시 (소폭 상승 마감) * 개인,외국인 매수 / 기관 매도 - 한국 증시 왜이렇게 올랐을까? 1) 신축년 '바이든-포스트코로나' 시대 원년 : 다자주의 복귀, 세계 교역 최소 0.5%p 증가 : 코로나 백신 상용화, 세계 교역 0.7%p 증가 -> 세계 교역 증가 바탁으로 세계 경기 회복 (한국,중국과 같은 수출 지향국에 유리 할 것으로 판단) 2) 코로나 3000돌파 이후 공포 지수 상승중 : 올해 들어 가보지 못한 새로운 경험으로 인해 불안 요인 3) 가치주와 성장주 '임의주 구별' : 하워드 막스, 가치주와 성장주 구별 '의미 없다' (버핏 방식 가치투자, 코로나 시대 '최악의 실적') : 코로나 시대 주식, 현재보다 미래 가치 '주목' (머스크 효과, PER,PBR보다 PPR과 PDR) 4..

한국 증시 현황 1) 코스피 : 0.71% 하락 (기관, 외국인 매도) 2) 코스닥 0.3% 하락 (기관, 외국인 매도) 세계 증시 현황 1) 미증시 (소폭 상승 마감) *미국 금리 급등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유동성 장세 종료 논쟁 고개 들어 : 대규모 부양책 -> 적자 국채 발행 -> 금리 상승 -> 인플레와 시장금리 상승 -> 유동성 장세 종료 시나리오 ? : 미국 국채 10년물 수익률 23%(1개월) 상승, 10개월래 최고치 (52주기준 30.43% 하락) : 미국 댈러스 총재 마이너스 금리 반대 : 애틀란타 부총 "빠르면 내년 하반기 금리 인상 할수도" : 트럼프 탄핵 소추안 오늘 결정 : 바이든 정부 14일 대규모 부양책 윤곽 : 14일 파월 연준 의장 연설 예정 : 13일 소비자 물가 ..

21 1/12 (화요일) - 한국 증시 하락 (코스피 0.12% 하락, 코스닥 1.13% 하락) *개미만 4.4조원 사고 외국인 기관은 매물폭탄 던졌다 1) 공매도 금지 예정대로 3월 재개 (금융위 발표) 2) 소로스 가설, 특정 사건 계기로 '순간 폭락; : 만약 이때 경기가 받쳐주면 '3차 랠리' 진입 : 공매도 금지 연장 종료, 본격 조정 빌미 줄수도? : 한국 증시 'Ice breaking' vs 'Ice Age' 기로에 있다 -> 두 가지 가능성 대비할 국가의 주식 필요 : 중국 주식 : 'V자형' 반등 속 주가 오르지 않아 1) 작년 3월 이후 코스피 115% vs 상하이 34% 2) 첨단 기술 등 트럼프 정부의 집중적인 견제 3) 시진핑, 경기와 주가 괴리 등 불균형 해소 4) 덩샤오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