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알고리즘 (2)
삶의 공유
Decision Tree란? -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패턴을 예측 가능한 규칙(Rules)들의 조합으로 나타냄 - 모양이 '나무'와 같다고 해서 의사 결정 나무 라고 불림 - 질문을 던져서 대상을 좁혀 나가는 '스무고개' 놀이와 비슷한 개념 아래 의사 결정 나무를 시각화 표시한 것으로 간략하게 어떤 기준으로 분류가 되면서 데이터를 분류하는 지 눈으로 한번 익혀보자 Decision Tree의 기본적인 원리 - Linear Regression과 다르게 Model의 Complexity를 극한으로 높일 수 있음(하지만 이로 인해 Overfitting이 일어날 수 있음) - 아래 예제와 같이 만약 Terminal node수가 3개 뿐이라서 새로운 데이터가 100개, 1000개가 주어진다고 해도 ..

안녕하세요 Python 으로 하는 금융 데이터 분석 내용으로 알고리즘 트레이딩 그 중에서도 단순 이동 평균 전략에 대한 소개와 예시를 통해 같이 공부하는 내용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단순 이동 평균 전략 단순 이동 평균 전략은 무엇을까요? 제목만 놓고 보면 이동선 평균을 활용한 전략일 거 같은데,,? 라는 감이 살짝 오시나요? 자세히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이동평균선은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 지표로,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 평균을 보여 줍니다. 차트를 해석할 때 잡음(noise)을 줄여줌으로써 추세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고, 후행성 지표이기 때문에 미래를 예측하기보다는 현재 상태를 확인하고 분석하는 해석 지표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이동평균선은 장기와 단기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