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실질금리 (2)
삶의 공유

미국 금리 & 인플레이션 실질금리 : 인플레이션을 감안하기 위해 명목 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 값으로 이자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낸다. - 실질 금리가 낮아지면 증시는 환호 (자금 조달 비용이 낮음, 즉 대출 이자가 싸다는 뜻으로 투자가 활성화됨) 단기 금리 : 정책 금리 조정시 단기 금리는 이를 즉시 반영(= 기준 금리) 장기 금리 : 향후 경기의 향방 예측에 따라 상승 또는 하락 : 채권시장의 수급에도 영향을 받음 (만기별 채권 발행 규모, 안전 자산 선호도에 따른 장, 단기 채권 투자비중 변화) - 장단기 금리차 확대 : 시장 참가자들이 미래 경기가 호전되어 금리가 상승 할 것이라고 예측 - 장단기 금리차 축소 : 미래 경기를 부정적으로 전망 하고 있단는 것을 의미 ▶ 지표 해석 - 2년, 10년 ..

안녕하세요~ 오늘의 포스팅은 실질금리(TIPS금리)는 무엇인가? 에 대한 내용으로 경제공부를 해보려고 합니다. 같이 공부 해봐요 ~~ 사전적 정의의 실질 금리는 인플레이션을 감안하기 위해 명목 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 값으로 이자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낸다. 실질 금리 = 명목 금리 - 기대 인플레이션율 입니다. ※ 명목 금리 : 화폐 1단위를 일정 기간 동안 빌리는 대가로 지불한 화폐액으로서 이자를 원금으로 나눈 값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명목금리가 1% 이며, 인플레이션율이 3%이면 실질 금리는 -2% (1% - 3% = -2%)가 됩니다. 즉 이렇게 되면 경제 주체가 현금을 가지고 있으면 실질적으로 -2%씩 손해를 보고 있다는 의미와 동일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현금을 보유 하고 있다면 계속 손해를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