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경기지표 (3)
삶의 공유
달러 스마일 이론은 미국 달러화의 가치가 글로벌 경기 상황에 따라 웃는 사람의 얼굴 모양처럼 움직인다는 이론입니다. 경기가 침체기일 때는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인해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고, 경기가 과열되거나 침체에서 회복되는 중간 단계에는 경기 회복 기대감과 리스크 회피 심리로 인해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는 것입니다. 미국 경제가 상대적인 강세를 보일 때는 성장 격차에 되레 주목하며 달러화 수요가 늘어 달러화 강세로 이어진다는 뜻입니다. 1. 달러 스마일 이론의 개요 달러 스마일 이론은 모건스탠리의 외환전략가였던 스티븐 젠이 2007년에 처음 주장한 이론입니다. 젠은 이 이론에서 달러화의 가치는 크게 3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 펀더멘털 요인: 미국 경제의 성장률, 물가, 금리 등과 ..
24주차 지표 Summary - Global - 금리 버블은 터진다 1.국채의 시간 - 미국채 10년물 금리 다시 상승 중으로, 국채 가격 하락 매수 기회 있음 - 미국채보다는, 한국채가 더 나을 것으로 예상됨 (미국채는 사줄 사람이 없음..) 2. 금리 > Taylor Rule에 Gap에 의해 금리 인상 1,2 회 정도 남았음을 예상 가능 > 최근 다음 FOMC회의 시 예측 전망이 동결에서 25bp상승으로 전환되었으나, 현재 CPI, 고용 수준으로는 동결 가능성이 더 높아 보임 3. 환율 > 원화 환율은 미국 부채한도 협상이후 원화 강세 전환됨 > 위인화(경제 부진), 엔화(저금리, 긴축기조 없음) 환율은 약세 기조 지속 중 4. 원자재 > 세계 경제 침체 우려 속 구리, 철광석 모두 하락 후 보합 추..
안녕하세요~ 오늘의 포스팅은 실질금리(TIPS금리)는 무엇인가? 에 대한 내용으로 경제공부를 해보려고 합니다. 같이 공부 해봐요 ~~ 사전적 정의의 실질 금리는 인플레이션을 감안하기 위해 명목 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 값으로 이자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낸다. 실질 금리 = 명목 금리 - 기대 인플레이션율 입니다. ※ 명목 금리 : 화폐 1단위를 일정 기간 동안 빌리는 대가로 지불한 화폐액으로서 이자를 원금으로 나눈 값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명목금리가 1% 이며, 인플레이션율이 3%이면 실질 금리는 -2% (1% - 3% = -2%)가 됩니다. 즉 이렇게 되면 경제 주체가 현금을 가지고 있으면 실질적으로 -2%씩 손해를 보고 있다는 의미와 동일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현금을 보유 하고 있다면 계속 손해를 보..